김영희 2

김영이, 김영희 ‘자수장’ 보유자 인정 예고

의견 수렴·검토, 무형유산위 심의 거쳐 최종 결정(머니파워=머니파워) 김영이(金榮二, 서울, 1953년생), 김영희(金永嬉, 서울, 1950년생) 씨가 국가무형유산 ‘자수장(刺繡匠)’ 보유자로 인정될 예정이다. ‘자수장’은 여러 색깔의 실을 바늘에 꿰어 바탕천에 무늬를 수놓아 나타내는 기능 또는 그러한 기능을 보유한 장인을 말한다.24일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김영이·김영희 씨는 각각 2008년과 2015년에 ‘자수장’ 전승교육사로 인정돼 전승활동과 전수교육을 통해 ‘자수장’의 보전·전승에 힘써온 장인이다. ▲김영이 씨는 1970년 고(故) 한상수 보유자에게 입문해 55년 동안 기술을 연마했다. ▲김영희 씨는 1966년 최유현 보유자에게 입문해 59년 동안 자수 공예 기술을 닦아오는 등 해당 분야에서 활발..

카테고리 없음 2025.01.24

문화재청, 국가무형유산 ‘玉匠’ 보유자로 김영희씨 인정

53년간 옥 가공 기술 연마한 장인…전승 현장 활력 기대 (머니파워=이용관 기자) 문화재청이 국가무형유산 ‘옥장(玉匠)’ 보유자로 김영희(金泳熙, 경기 파주시, 1959년생) 씨를 인정했다. 국가무형유산 ‘옥장’은 옥으로 여러 가지 기물이나 장신구를 제작하는 기능 또는 그러한 기능을 보유한 장인을 말한다. 옥은 동양문화권에서 금·은과 함께 대표적인 보석으로 여겨지며, 사회신분을 나타내는 장신구로도 이용됐다. 희고 부드러운 옥의 성질이 끈기와 온유, 은은함, 인내 등을 의미하기도 한다. 옥의 제작과정을 살펴보면 채석-디자인-절단-성형-세부조각(구멍뚫기, 홈파기)-광택의 과정을 거친다. 각 공정에 따라 절단 공구인 쇠톱, 구멍을 뚫는 송곳인 활비비, 연마기인 갈이틀(목재 등을 둥근 모양으로 가공하기 위한 기..

카테고리 없음 2024.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