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현장 5

도급순위 17위 사망사고 많은 계룡건설

13건으로 비슷한 규모 회사 비해 월등…전체 1위는 현대건설(머니파워=머니파워) 최근 5년간 도급순위 20위에 해당하는 건설회사의 건설 현장 사망사고는 192건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사망사고가 가장 많은 곳은 현대건설로 24명이었다. 다만 도급 순위 17위임에도 불구하고 유사 규모 회사에 비해 사망사고가 월등히 많은 곳은 계룡건설로 나타났다.30일 윤종오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사망사고는 총 65건인데 반해, 윤석열 정권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간 사망사고는 97건에 달한다. 특히 2024년 사망사고는 34건으로 건설현장이 급감함에도 불구하고 전년에 비해 사망사고는 오히려 더 늘어났다.최근 5년간 사망 사고가 가장 많이 일어난 건설회사는 ..

카테고리 없음 2025.09.30

국토부-노동부 합동 불법하도급 집중 점검 실시

11일부터 50일간 전국 지자체와 LH, 철도공단, 도로공사 등 대상(머니파워=머니파워) 국토교통부와 고용노동부가 합동으로 부실시공, 안전사고 및 임금체불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건설현장의 불법하도급 근절을 위해 집중 점검에 나선다. 오는 11일부터 내달 30일까지 50일간 실시되는 합동 단속에는 전국 지자체와 LH, 철도공단, 도로공사, 한국수력원자력, 수자원공사, 농어촌공사, 한국전력, 가스공사, 서울주택도시공사, 서울교통공사 등이 대상이다.이번 단속은 중대·산업재해가 발생한 건설사업자의 시공 현장, 임금체불 및 공사대금 관련 분쟁 발생 현장, 국토교통부 조기경보시스템을 통해 추출된 불법하도급 의심 현장 등에 대해 집중적으로 실시될 예정이다. 관련기사키워드##국토부 #노동부 #불법하도급 #안전사고 ..

카테고리 없음 2025.08.08

정부부처 합동 건설현장 불법행위 집중단속 실시

타워크레인 작업 고의지연, 불법하도급 등…오는 5월31일까지 (머니파워=이원환 기자) 정부가 국토교통부, 고용노동부, 경찰청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22일부터 오는 5월 31일까지 건설현장 불법행위 집중단속에 나선다. 국토부는 지난 3월 22일부터 4월 19일까지 현장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타워크레인 조종사의 부당금품 강요·작업 고의지연, 불법하도급 등이 의심되는 155개 사업장을 선정해 집중단속할 계획이다. 또한, 불법하도급 등은 단속매뉴얼을 별도로 작성·배포할 예정이다. 고용부는 법 위반이 의심되는 150개 건설사업장을 별도 선정해 채용강요 및 임금체불 등 기초노동질서 위반행위 전반에 대한 집중 단속을 실시한다. 경찰청은 지난 3월부터 첩보를 통해 주된 불법사례로 확인된 ▲갈취 ▲업무방해 ▲채용강요 등 ..

카테고리 없음 2024.04.21

고용부, 50~800억 건설 현장 집중 점검

올해 120억 이상 현장 사망자 전년동기 두배 급증 (머니파워=이원환 기자)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이 제17차 현장점검의 날인 6일 50억 원 이상 800억 원 미만 건설 현장을 집중 점검했다. 2023년 6월 말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발생 현황’에 따르면, 전체 사고사망자는 289명으로 전년 동기(318명) 대비 9.1% 감소했으나, 50억 원 이상 건설 현장의 사망자는 57명으로 전년 동기(50명) 대비 14% 증가했다. 특히, 120억 원 이상 800억 원 미만 건설현장 사망자는 28명으로 전년 동기(12명) 대비 두배 이상 늘었다. 이에 고용노동부와 안전보건공단은 50~800억 원 건설현장 내 3대 사고유형 8대 위험요인 등을 집중 점검했다. 특히, 올해 상반기 50억 원 이상 건설현..

카테고리 없음 2023.09.06

건설현장 불법행위 단속해 4829명 송치

148명 구속…경찰, 250일간 단속결과 발표 (머니파워=이용관 기자) 국가수사본부가 지난해 12월 8일부터 이달 14일까지 총 250일간 시행한 ‘건설현장 갈취·폭력 등 조직적 불법행위 특별단속 결과, 총 4829명을 송치하고 이 중 148명을 구속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중점 단속 대상에는 ▲소속 단체원 채용 및 장비사용 강요, ▲전임비·복지비·발전 기금 등 명목의 금품 갈취, ▲출근 방해·공사 장비 출입방해 등 업무방해, ▲건설현장 폭행·협박·손괴 등 폭력행위, ▲건설현장 떼쓰기식 불법 집회시위 등이었다. 송치된 인원을 불법행위 유형별로 살피면 ▲전임비, 복지비 등 각종 명목의 금품 갈취 3416명(70.7%) ▲건설현장 출입방해, 작업 거부 등 업무방해 701명(14.5%) ▲소속 단체원 채용..

카테고리 없음 2023.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