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지났는데도 설치율 53.7%…위원장 없거나 미공시 절반 이상

(머니파워=머니파워) 2020년부터 시작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열풍이 시들해지는 모양새다. 기업들의 ESG위원회 설치율이 절반 수준에 머물러 있고, 운영도 분기 평균 1회도 열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ESG 경영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도가 낮아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18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반기보고서를 제출하는 361개사를 대상으로 ESG위원회 및 유사한 지속가능경영위원회 운영 여부를 조사한 결과, 53.7%인 194개 기업만이 관련 위원회를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같은 기준 조사에서 48.5%(175개 기업)였던 것과 비교하면 1년 동안 19개 기업 증가에 그친 수치다.
ESG위원회 회의 개최도 저조했다. ESG위원회를 운영하는 194개 기업에서 지난해 열린 회의는 총 595회로, 위원회당 연평균 3.8회에 불과했다. 분기당 1회도 개최되지 않은 것이다.
회의에 상정된 안건 역시 총 1361건으로, 회의당 평균 2.3건이 처리됐다. 그러나 이 중 64%에 해당하는 875건이 단순 보고였으며, 가결을 필요로 하는 안건은 35.7%(486건)에 불과했다.
ESG위원회에서 의결을 요하는 486건의 안건을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 분야로 분류해 본 결과, 직접 관련된 내용은 79건으로 전체의 16.3%에 그쳤다. 나머지는 ESG 관련성보다는 기업 전략이나 주주환원 등의 기타 안건이 대부분이었다.
직접 안건을 세부적으로 보면, 환경(E) 관련이 39건(8.0%)으로 가장 많았고 지배구조(G) 개선 23건(4.7%), 사회(S) 관련 17건(3.0%) 순이었다.
업종별 ESG위원회 설치율을 보면 4대 금융지주를 포함한 지주사들과 이동통신 3사는 100% 운영 중이었다. 이어 500대 기업에 포함된 공기업 10곳 중 9곳(90%)이 ESG위원회를 두고 있으며, 조선·기계·설비업 70%, 증권업 70.0%, 상사업종과 생활용품 66.7%, 서비스업 65.2%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반면, 철강업(21.4%)과 제약업(25.0%)에서는 ESG위원회를 운영하는 기업이 3분의 1에도 미치지 못했다. 철강업의 경우 14개 기업 중 3곳이, 제약업은 8개 기업 중 2곳만이 ESG위원회를 두고 있었다.
ESG위원회를 운영하는 194개 기업에서 활동하는 위원은 총 624명이었으며, 이 중 78.4% 489명이 사외이사였다. 사내이사는 21.8%(136명)에 그쳤다.
위원장이 지정된 ESG위원회는 96곳에 불과했으며, 그보다 더 많은 98곳은 위원장이 없거나 공시되지 않았다. 또한 위원장이 있는 96곳 중 사내이사가 위원장을 맡은 경우는 단 5곳뿐이었다. 오뚜기 황성만 대표이사 사장, 롯데렌탈 최진환 대표이사 사장, 농심 이병학 대표이사 사장, F&F 김창수 대표이사 사장, 에쓰오일(S-oil)의 모타즈 알 마슈크(Motaz Al Mashouk) 기타비상무 이사가 그들이다.
나머지 91곳은 사외이사가 위원장직을 수행하고 있다. 이는 지난해 사내이사가 ESG위원장을 맡은 비율(7.7%, 12명)보다 크게 감소한 것으로, ESG 경영에 대한 기업의 관심도가 점차 낮아지고 있음을 방증한다.
관련기사
키워드
##이에스지 #ESG #이에스지위원회 #ESG경영 #리더스인덱스 #지속가능경영 #머니파워머니파워
‘머니파워’는 인터넷 언론사. 경제 정치 뉴스, 문화 건강 생활 뉴스, 오피니언 등 수록. 엠피뉴스, mpnews
www.moneynpower.com